라벨이 IT인 게시물 표시

[IT] 2012년 MacBook Air에서 External SSD로 Windows To Go 설치 후 블랙스크린 문제 해결법

이미지
  2012년 MacBook Air에서 External SSD로 Windows To Go 설치 후 블랙스크린 문제 해결법 MacBook Air 2012 모델에 외장 SSD를 활용해 Windows To Go 방식으로 Windows 10을 설치한 후, 부팅 시 블랙스크린이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문제 상황 2012년형 MacBook Air에 Windows To Go를 설치한 후, 부팅 시 아무런 화면도 출력되지 않고 블랙스크린 상태에서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원인 분석 블랙스크린이 발생하는 원인은 Windows To Go를 생성할 때 사용한 파일 시스템 설정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Windows To Go를 만들 때 파티션 스타일을 **GPT(GUID Partition Table)**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2012년형 MacBook Air에서는 MBR(Master Boot Record) 방식을 사용해야 정상적으로 부팅됩니다. 해결 방법 Windows To Go 드라이브 재설치 저는 Windows to go를 만들때 rufus를 사용합니다. 부팅선택에서 Windows To Go를 파티션 구성에서 MBR를 선택합니다. Windows To Go 생성 후 확인할 사항 Windows To Go를 만들 때, GPT 대신 MBR 방식 으로 설정했는지 확인합니다. 설치 후 MacBook Air에서 Option 키를 누른 상태로 부팅하여 외장 SSD를 선택 합니다. 정상적으로 Windows 10이 부팅되는지 확인합니다. 결론 2012년형 MacBook Air에서 Windows To Go를 설치할 때, 파티션 스타일을 GPT가 아닌 MBR 로 설정하면 블랙스크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문제를 겪고 계신다면 이 방법을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IT] 윈도우 설치 ISO에 드라이버 심기

이미지
간만에 미니PC가 생기게 돼서 가지고 있던 윈도우 7을 설치한후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하겠다는 생각을하고 실천에 옮깁니다. ISO파일을 USB에 심고 부팅을 하는데까지 성공했으나 왠걸요. 다음 화면에서 꼼짝을 안합니다. 마우스, 키보드 다 먹통입니다. 미니PC에 USB 2.0, 3.0포트 두개다 있어서 옮겨보면서 시도를 해봐도 꼼짝을 안합니다. 구글링을 통해 알아낸건 윈도우 설치 ISO에 USB 3.0드라이버가 없기때문이라는 의견이 많더군요. 그 때문에 USB 3.0드라이버를 ISO에 심는 방법을 찾아보고 여기에 공유해 드립니다. 먼저 자신의 PC 메인보드에 맞는 USB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합니다. 저같은 경우 그냥 인텔에서 다운로드 했습니다. 혹시나 해서 링크 걸어 드립니다.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download/17344/intel-usb-3-0-extensible-host-controller-driver-for-intel-8-9-100-series-and-intel-c220-c610-chipset-family.html 먼저 바탕화면에 Drivers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아래 mount와 USB라는 폴더를 만듭니다. USB라는 폴더 아래 다운로드 하신 드라이버 압축을 풉니다. 다음은 윈도우7 설치 USB로 들어가 sources폴더 안의 boot.wim과 install.wim이라는 파일을 바탕화면 drivers폴더안에 복제합니다. 아울러 만약을 위해 다른곳에 이 두파일을 백업해 두시길 권장합니다. 그리고 다음은 명령프롬프트(command prompt)를 관리자 권한으로 엽니다. 그리고 디렉토리를 cd명령어를 통해 바탕화면 drivers폴더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요. cd C:\Users\로이\Desktop\Drivers - 로이 계정의 바탕화면 Drivers 폴더로 접근 여기까지 하셨다면 다음 명령어를 차례로 입력합니다. dism /mount-wim /wimfile:boot.wim /index...

[IT] HP 스트림 14 SSD 업그레이드 하기

이미지
간만에 컴퓨터 업그레이드 이야기입니다. HP Stream 14 모델 번호는 14-ax022nr을 분해후 램 업그레이드, 그리고 SSD업그레이드 하기로 합니다. 레퍼런스로는 다음 유튜브 클립을 이용했습니다. 여기서 하는데로 하면 좋겠지만 이 비디오는 CB116이라는 모델로 EMMC 64기가가 장착된 모델입니다. 제 모델은 EMMC 32기가가 장착된 DDR3 램이 필요한 모델입니다. DDR3 1600 4기가에서 8기가로 업그레이드 그리고 wifi카드를 빼고 그자리에 M.2 SSD를 extension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wifi 카드를 뺐기에 USB 와이파이 동글을 이용해 인터넷을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대충 위 비디오를 보시고 M.2 SSD extension은 제가 구매한곳 링크를 드립니다. 이 제품을 사용하면 확실히 됩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3256801670157480.html?spm=a2g0o.order_list.0.0.27fa140fobnmcq&gatewayAdapt=glo2kor 문제는 비디오에서처럼 M.2 SSD로 부팅이 안된다는데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해서 올려주신 분의 비디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Refind를 이용하여 NVME SSD로 부팅이 가능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Refind 프로그램 링크는 위비디오 설명부분 첫번째 링크( https://www.youtube.com/redirect?event=video_description&redir_token=QUFFLUhqbmtNSGxKNW1LQXRpaVRucUZKTEgyOUttSTNzQXxBQ3Jtc0tuQk1SV0hTQVlVOUc0eWFyZ1lGNTd0dWNWV2ZsNHdFbnFucGh1c1NoMXI0OU5oOGI5cEYwUFBLZkZ5SnlLN3R4RkVTWndYSXJVSXhFUmlKUDQ4aVJaN3ZkYkFwWVIzei1Hc3p3a0duOElOYkZ2Rm8wUQ&q=https%3A%2F%2Fdrive.google.com...

[IT/Computer] 아쿠아플레이어(Aqua nPlayer) - 동영상 재생 문제 - 인강 동영상 재생 문제

이미지
오늘은 아쿠아 플레이어 얘기를 좀 해볼까해요. 인터넷 강의를 듣는분들 거의 대부분 아쿠아플레이어를 사용해야합니다. 문제의 시작은 제가 수학 공부때문에 성지닷컴에 들어가 샘플강의를 듣기 시작한 후 였어요. 이런 화면이 나타나 아쿠아플레이어를 재설치해도 문제는 계속됩니다. 가지고 있는 몇몇의 컴퓨터로 해도 안돼 이것저것 찾아보다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제가 해외에 있어서 안되는건가 하고 거의 포기할뻔했지만 결국 성공했다는. 기본적으로 애플컴퓨터 유저이신 경우 파이어폭스를 설치해 접속하시면 거의 대부분 해결됩니다. 문제는 윈도우인데요. 제가 가진 HP노트북은 되고 삼성 노트북은 안되고 데스크탑도 안되는등 좀 짜증나는 상황이 됐습니다. 어찌어찌해서 문제를 해결했는데요. 일단 파이어폭스를 사용하시는건 같습니다. 파이어폭스 설정으로 가셔서 일반 설정 쭉 스크롤 다운하시면 네트워크 세팅이 나옵니다. 세팅을 눌러주세요. 그 안에서 또 스크롤 다운하시면 'Enable DNS over HTTPS'가 클릭돼있는지 확인하시고요. 클릭된 상황에서도 안되는 거였다면 Provider를 Cloudflare에서 NextDNS로 바꿔주시면 거의 다 해결됩니다. 혹 이걸로도 안된다면 오페라 브라우저의 경우 더 많은 DNS서버 선택이 가능하니 오페라 브라우저 설치하고 설정을 바꿔해보세요(오페라가 중국 브라우저라 좀 찜찜하긴 하지만) 제가 생각하기론 아쿠아플레이어 자체의 다운로드 매니저 서버의 접속문제가 아닐까합니다. 오른쪽 아래 아쿠아플레이어 탭을 클릭 다운로드 매니저를 클릭했을때 접속이 되면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없고, 접속이 안되면 동영상 재생이 안되고 아쿠아플레이어를 설치하라는 문구만 계속뜨는 현상이 발생하더라고요. 다운로드 매니저 클릭후 URL을 복사 붙여놓기해서 매니저가 접속되는 브라우저에서는 인터넷 강의를 즐기실수 있다고 보시면 될거 같아요. 이 모든 문제가  아마도 인터넷익스플로러를 더 이상 사용할수 없기에 나타난게 아닌가 싶네요.

[IT] LG LE50(-VICT2) USB부팅 되는 바이오스 설정

이미지
 LG LE50(-VICT) USB부팅이 안되신다는 댓글을 보고 올리는 포스팅입니다.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일단 바이오스 문제가 아닐까 싶어 현재 USB부팅이되는 제 컴의 바이오스 화면을 올려드립니다. 아마도 다음 USB Bios legacy support를 enabled시키는게 중요하지 싶습니다. USB를 위로 해서 하드디스크보다 USB에게 우선순위 주시는것도 잊지 마시구요.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IT] 삼성 갤럭시탭4(SM-T530)을 안드로이드 롤리팝으로 업그레이드 이후의 문제

이미지
 삼성 갤럭시탭4 10.1(SM-5530)을 기존의 안드로이드 킷캣(4.4)에서 롤리팝(5.02)으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커스텀 롬이 아닌 삼성 롬 자체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이라 혹시나해서 따라해 봤더니 성공했습니다. 다음은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블로그 링크입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ongs0530&logNo=22070620512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덧붙여 말씀 드리자면 원 블로그의 구글 드라이브 주소는 현재 사용 불가능하고 원본 롬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sammobile.com/samsung/galaxy-tab4/firmware/SM-T530/BTU/download/T530XXS1BRH1/245519/ 제가 하던중 해매던 부분이 있었는데 볼륨상키는 왼쪽이 아닌 오른쪽 버튼이라는 겁니다. 가로로 놓고 볼륨키를 위쪽으로 한 위치에서 오른쪽이 볼륨 상키입니다. 그리고 연결해서 odin에서 시작 여러번 누르다보면 롬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전체 베터리는 10%이하로 사용되므로 50%정도 충전후 다운로드하면 안전할것 같습니다. 영국 롬버전이라 영어로 바뀔줄 알았는데 한글 그대로 업데이트되며설치돼 있던 앱도 지워지지 않고 안드로이드만 업데이트 되더군요!(오~~~심지어 배경화면도 그대로...). 키보드 입력을 삼성키보드중 한글키보드로 업데이트해주세요. 제가 하는 총기시대(guns of glory)가 업데이트이후 킷캣이 지원되지않아 거의 사용하지 않던 타블렛이었는데 롤리팝 업그레이드후 다시 게임용이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사용해본 후 주요 문제점은 구글플레이스토어의 앱 업데이트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업데이트 확인중에 오류발생' 이 메세지가 계속 떠서 앱을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다 지쳐 구글링을 열심히 해봤습니다. 이 또한 해결책이 있는데 무엇보다 타블렛의 시간을 와이파이로 ...

[IT] 아크로니스 투루 이미지(Acronis True Image) 클론시 부팅후 화면이 안나오는 문제...

이미지
오늘은 간단한 포스팅한번 올려봅니다. Acronis True Image프로그램 이야기입니다. 실은 굉장히 간단한건데 나름 헤매다가 답을 찾은 문제라서 공유하려고 합니다. 얼마전 ADATA SSD하나를 장만했습니다. PC OS용으로 장만했지요. SSD가 오고 ADATA홈페이지에 제품등록을 하면 Acronis True Image프로그램의 시디키를 받을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www.adata.com/en/ss/software-5/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클론을 시작합니다. HDD 512기가짜리를 SSD 120기가로 클론하는 작업입니다.(HDD는 현재 54기가 사용중이네요) 클론 클릭하고 소스, 도착지 선택하면 갑자기 윈도우를 리부팅하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문제는 리부팅하고 화면이 안나옵니다. 윈도우 부팅이 안되지요... 몇번을 껏다해보고 했으나 여전히 해결이 안되더군요.. 이것저것 인터넷을 뒤져보다 답을 하나 찾았습니다. 리부팅후 클론 프로그램자체의 부팅 소프트웨어가 작동되는것입니다(인터넷에 찾아본 바로는 리눅스 기반의 프로그램이라고 하더군요).. 저같은 경우 문제는 아크로니스 부팅 소프트웨어가 제 PC의 비디오카드를 인식 못하는 것에 있었습니다. VGA케이블을 마더보드 비디오 아웃풋으로 꽂으니 드디어 화면이 나오네요. 몇번 클릭하고 바로 클론 시작합니다. 클론하고 HDD를 제거하고 SSD로 부팅하니 바로 윈도우 10이 돌아가네요. 자료 정리네 윈도우 재설치네 하는 귀찮은 작업없이 SSD로 교체하니 정말 편하네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올려봅니다. 저처럼 시간낭비하지 마시라고요.

[IT] Dell Optiplex 960 메인보드로 CPU 옮겨타기

이미지
오랫동안 썼던 ASUS보드가 결국 운명했습니다. 컨덴서 교체로 몇년 더 연명했으나 결국 사망... CPU, GPU도 아깝고해서 (겨우 E8400일뿐인데..요즘 5불도 안함) 메인보드 쇼핑해서 다시 컴퓨터를 만들어보기로 합니다. 많은 돈을 쓰긴 싫고... 가장 저렴한 이 보드로 결정했습니다. 싸다고 아무생각 없이 샀는데 여기서 많은 문제들이 시작됩니다. POS용으로 쓸 PC라 고사양은 필요없지만 램이 좀 크길 원했어요. 2기가 슬롯이 네개(총 8기가)인 이보드로 결정했습니다(DDR 2램이니 엄청 싼편이고요) 당장 파워 연결이 문제네요. Mini 24pin이 연결하게 돼있더군요. 할수 없이 아뎁터 구입... 자세히 보니 히트싱크 구멍이 이상합니다. 급하게 찾아본 결과... 전용 히트싱크, 팬이 따로 있더군요.. 이런... 또 구입해서 장착.. 장착하려고 보니.... 나사형식입니다. 얼마 안되는 인터넷 정보를 찾아본 결과... 히트싱크가 케이스에 장착하게 돼 있다는것을 발견합니다.. 이렇게 말이죠(유튜브 ' Dell optiplex 960 teardown '영상에서 캡쳐했습니다).. 오른쪽 구멍 4개 보이시죠... 케이스는 죽어도 안삽니다. 여기서 포기할까 하다가... 겨우 너트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렇게 생긴 나사를 가지고요... 어떻게해서 히트싱크, 팬을 장착하는데 성공합니다. 너트 장착한 모습... 드디어 히트싱크가 이렇게 장착됐습니다. 분홍색 스폰지로 메인보드 균형도 맞춰주고요.. 조립하고 파워온하니 돌아가네요... 다행입니다. 며칠전 저렴하게 구입한 SSD도 장착해주고요... 바이오스 화면에서 이런화면이 뜨지만 F1눌르고 그냥 넘어갑니다. 이놈의 보드는 지들 케이스를 안쓰면 이런 에러가 뜨나봅니다. 아뭏든 무시하고... 이렇게 윈도우 설치가 되고 있습니다..휴... 다행입니다. 아직 완벽하진 않아요.. 파워버튼이...

[IT] PC메인보드 수리(콘덴서 교체)

이미지
요즘 리눅스에 관심이 많아 듀얼부팅으로 쓸까하다가 컴퓨터를 하나 다시 조립하기로했습니다. 마침 예전에 고장나 쳐박아 두었던 메인보드가 하나 있어 CPU, 램도 있고 해서 할수 있는 프로젝트였습니다. 팬만 사면됐는데 중국제가 5불도 안하더군요. P5QL-VM EPU라는 ASUS에서 만든 메인보드입니다. 제 기억에 하드 인식 문제가 있어 교체했던 보드였는데 이번에 수리 부활시켜보기로 했습니다. 메인보드 고장은 대부분 콘덴서 불량입니다. 몇몇 컨덴서를 봤지만 가장 심한 얘 하나를 골라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콘덴서가 제대로 터져 누액까지 됐네요. 그 옆에 놈도 그닥 상태가 좋아 보이지는 않으나 귀차니즘으로 그냥 넘어갑니다. 콘덴서 떼는것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잡아빼면 되지요. 하지만 무리한 힘을 줘선 안된다는것은 다들 아실거고... 위의 사진은 몸통은 때고 다리만 남아있는 모습입니다. 누액이 보이지요... 역시나 제대로 터졌네요. 콘덴서 아랫면의 모습입니다. 탔죠 그냥.... 여기서부터가 까다로운데 남은 다리를 제거하는 법입니다. 일단 인두로 아래쪽을 지지면서 조심스레 남은 다리를 떼냅니다. 문제는 보통 납으로 구멍이 막힌다는 점이지요.. 여기서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습니다. 어떤 분은 드릴이 있으면 드릴을 사용하라고 하시더군요. 저 같은 경우 바늘을 이용했습니다. 조심스래 압력을 가하면서 인두를 데서 녹이면서 구멍을 만들었죠.. 인두질시엔 화상을 주의해야합니다. 항상... 그 다음은 양극 음극 극성에 맞게 새 콘덴서를 끼우고 납땜후 니퍼로 뒷쪽 넘은 선을 잘라주면 그만입니다. 양극 음극에 대해서도 긴선이 양극이라는건 맞으나 보드상 하얀부분이 꼭 양극, 음극인것만은 아닌것 같더라고요. 아뭏든 보드를 잘 살펴보고 다른 콘덴서 규칙에 맞게 끼워주는게 답인듯 싶네요. 교체한 모습입니다. 옆에 있는 콘덴서가 눈에 거슬리지만 그냥 넘어갑니다. 다음은 마음 졸이면서 우분투 설치...

[IT] 시간에 따른 CPU의 가격하락....써멀그리스 가격이... 배보다 배꼽이 클뻔했네요...

이미지
ASUS Essentio CM5570라는 한 10년된 데스크탑 컴퓨터(DDR2시대의...)가 있습니다. 요즘 이 컴퓨터를 업그레이드질에 푹빠져있는데 거의 마지막으로 CPU업그레이드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데스크탑 역사가 깊어서 메인보드가 고장나서 Asrock conroe 1333-d667보드로 교체를 했습니다. 그래서 이 메인보드에 맞는 CPU를 알아보던중... E8600 CPU(Passmark : 2413)가 지원되는 최상급이라는걸 알아냈습니다(유저들에게 인정된...) 그래서 중고 CPU를 뒤지던중 E8400(Passmark : 2157)라는 제품을 이베이에서 발견했습니다. E8600보다 11.8퍼센트정도 뒤지지만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3.7불... 횡재입니다. 자 이제 써멀그리스 쇼핑입니다. CPU가 빨리 오니 이넘도 빨리 오는 걸로 찾습니다. 중국에서 오는 1불이하의 제품도 있지만 좀더 주고 빨리 받기를 원합니다. 헐... 그나마 싸게 찾은게 3개에 2.99불... 배보다 배꼽이 클뻔한 상황이네요. 어찌됐건 주문... CPU 교체할때는 특별히 윈도우 재설치가 필요없을거라는 인터넷 친구들의 조언을 철썩같이 믿고 도착과 동시에 업그레이드 들어갈겁니다.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는 해놓은거 같은데 다시 한번 점검해야겠네요. 정말이지 CPU가격은 싸지는데 써멀그리스 가격은 그대로니 당할 방법이 없네요. 배송비며 뭐며 생각하면 CPU가격이 3불이하는 어렵지싶네요.

[IT/가상화폐] USDT(USD 테더) 가치는 정말로 개당 1불로 유지되는가???

이미지
가상화폐 시장에서 가장 흥미로웠던게 USD테더였습니다. 달러나 원으로 사고 파는 빗썸,코인베이스는 이해가 갔는데 바이낸스나 폴로니엑스 같은 사이트에서는 비트코인으로만 사고 파니 가치를 판단하기 영 어려웠거든요. 그런데 USDT라는게 있습니다. 일명 USD테더.. 소위 테더 하나당 1달러의 값어치를 유지한다고 천명하고 있습니다. 크립토피아 거래소에는 뉴질랜드 달러와 맞먹는 NZDT라는게 있고 중국 위안화에 맞게 BITCNY라는것도 있습니다. 제딴엔 비트코인 시장이 떨어지거나 할때는 테더를 사놨다가 다시 투자하면 되겠다 싶었거든요. 그렇지만 정말 테더가 1달러의 값어치를 유지하는지 잘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찾아보니 거의 1달러에 근접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모습을 볼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Kraken의 USDT가격 차트입니다(Kraken이 대형 미국거래 사이트이고 달러로 USDT를 살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니 믿을 만한 지표이지 싶습니다) 보시다시피 1불 근처로 가격이 유지되기는 하지만 시장상황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것이 보입니다. 테더가 90센트까지 떨어진적도 있네요. 그럼 비트코인 차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이 강세일때는 테더값도 높게 비트코인이 약세일때는 테더 값이 낮게 거래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정말 아쉬운 일이죠. 비트코인이 강세일때 약세여야 할땐데 말입니다. 결국 하나의 가상화폐일뿐인것이지요.. 만약 여기서 비트코인이 더 폭락한다면 테더값은 어떻게 될까요? 얼마전 비트컨넥트의 거래중단으로 비트컨넥트 코인값이 대폭락한적이 있습니다. 그당시 비트컨넥트 시장의 테더값은 어땠을까요? CoinMarketcap에서 발췌한겁니다(2018/2/3). HitBTC거래소에서 마지막으로 54센트 가치를 가졌네요...ㅜㅜ 역시나 가치폭락에 따라 테더값도 유지하지 못한것을 볼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시장이 좀더 정교해졌음 하네요. 막연하게 1달러를 유지할것이다는거 말고요. 선물 시장이 생기고 옵션시장이 ...

[IT] Youtube(유튜브) 광고 요건 강화

이미지
얼마전 유튜브의 광고 요건이 다시 강화됐습니다. 지난 4월 1만뷰 이상 채널만 광고 심사한다고 하더니 드디어 그마저도 더 강화됐습니다. 요건은 ' 구독자 1,000명 및 지난 12개월 동안의 시청 시간 4,000시간'입니다. 이로서 신규 유튜버는 좀처럼 광고 시장진입이 어렵게 됐다고 할수 있겠네요. 명목은 이용자, 광고주 그리고 창작자를 보호한다는 이유입니다. 기업형 잘 나가는 채널만 살아남고 그나마 조금씩 올라오던 개인 콘텐츠들이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걱정이네요. 광고에 관계없이 올리시는분도 있겠으나 알다시피 동영상 편집이라는게 시간과 정성이 필요한 작업이니까요. 구글 주식 알파벳의 동향입니다. 16일 발표이후에도 계속 오르고 있네요. 뭐 워낙에 미국 시장이 좋습니다만.. 이번의 구글의 결정..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두고봐야겠습니다.

[IT/가상화폐] 여러분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코인 자산을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이미지
가상화폐 거래를 하다보니 여기저기 거래소를 거래할수 밖에 없습니다. 맘에 드는 코인이 특정 거래소에 있다면 거기서 거래해야하니까요.. 그런데 거래소 사이트마다 여간 수익률 계산 관리가 힘든게 아닙니다. 비트코인 원래 가격으로 샀지만 당시 달러로 얼마였는지 기록해놓지 않으면 여간 관리가 힘든게 아닙니다. 심지어 손해나고 있는건지 이익나고 있는건지도 가물가물하지요.. 해서 이것저것 뒤져보다가 Coin Stats앱을 발견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아이폰 사용자라서 iOS용 앱으로만 찾아본 결과입니다. 안드로이드에도 있는듯 싶더군요. 앱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강력한 AltFolio버튼을 누르면 본인의 포트폴리오를 여기에 입력해 놓을수 있습니다. 가격은 달러로 표시되기때문에 무척 편하고요.. 가장 강력한 기능이라고 생각하는게 transaction time을 입력하면 구입, 판매 가격이 자동으로 뜹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건 타임존인데요. Poloniex의 경우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Binance의 경우 폰의 로컬타임을 따라 가는듯 싶습니다. 코인 종류, 갯수를 표기하고 산 시간대를 입력하면 현재 가격과 비교해 수익률을 알려줍니다. 시험삼아 입력해본 화면입니다. 그림처럽 수익률을 나타내줘 편리합니다. 단 한가지 아쉬운점은 구매 마켓을 입력하는 기능이 없다는겁니다. 그냥 볼륨대비 평균가 계산된 달러 환산가로 계산된다는거죠. 하지만 본인 코인이 손해인지 이득인지.. 얼마쯤 이득인지등을 고생하지 않고 볼수가 있어 참 편한 앱입니다.

[IT/블록체인/가상화폐] 덴트(DENT)에 대해서...(블록체인 엿보기)

이미지
비트코인 시장이 고점에서 40-50퍼센트정도 빠졌습니다. 뭐 워낙에 시장이 과열이 됐으니 놀라운 일도 아닙니다. 저도 블록체인/가상화폐를 공부해보고자 이것저것 뒤지고 있는데 오늘은 DENT라는 가상화폐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더리움(ETH) 기반의 모바일 데이터 오픈 마켓을 위한 가상화폐입니다. 최근에 아이폰 앱까지 출시하면서 주목을 받았었죠.. 컨셉은 각국의 모바일 데이터를 사고 파는 오픈 마켓을 마련하는겁니다. AT&T, Verizon등이 참여했고요. 다음은 각국의 통신사의 참여 현황입니다. 덴트라는 가상통화로 본인 또는 친구, 가족에게 데이터를 살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번에 iOS앱이 출시되면서 덴트 앱을 테스트한 영상입니다. 여기서 보면 데이터를 다른 사람에게 보낼수 있는데 본인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본인에게도 데이터를 더할수가 있습니다. 데이터 추가와 함께 덴트로 지불하는것이지요. 앱을 써보니 전화번호로 통신사를 판별하고 가능한 오퍼를 보여줍니다. 아직은 데이터를 파는 기능은 없고요..(아 참고로 앱을 깔고 레지스터하면 30DENT를 그냥 줍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있으면 참 편하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특히 해외에 있을때 불필요한 카드 수수료등을 절약할수 있을듯 싶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저가 통신사들이 데이터 사고파는데 문호를 열게되면 대형 통신사들도 따라가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각종 모바일 기기중 가장 적당한 딜을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다음은 DENT에 대한 기본정보입니다. 현재 마켓 거래 가격은 0.053불입니다. 60원쯤 되나요.. 여기서 참조하실거는 발행가능 개수가 100조개라는 겁니다. 첨은 DENT가 상장될때 사십만(400,000) DENT가치가 1이더리움 가치와 같았었습니다. 현재 이더리움 시세가 1069.98불이니 대략 기초 가치는 0.00267불입니다. 실제로 대략 20배정도 값어치가 오른셈입니다(지금같은 하락장에서요.. 이더리움이 최고점(1400...

[IT] 600Mbps Dual Band 2 4G 5G Hz Wireless Lan USB PC WiFi Adapter 802 11AC New 드라이버

이미지
이번 포스팅은  600Mbps Dual Band 2 4G 5G Hz Wireless Lan USB PC WiFi Adapter 802 11AC New의 드라이버 링크를 위해 준비했습니다 Driver Download :  https://drive.google.com/file/d/1lRfPRFnSoL3Ba0dYTwacnEmPeHw1rSod/view?usp=sharing 필요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링크 올립니다. 제 구글 드라이버 용량이 허락하는한 링크는 유효하게 하겠습니다. 다음은 제품 리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