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Bitcoin인 게시물 표시

[IT/가상화폐] USDT(USD 테더) 가치는 정말로 개당 1불로 유지되는가???

이미지
가상화폐 시장에서 가장 흥미로웠던게 USD테더였습니다. 달러나 원으로 사고 파는 빗썸,코인베이스는 이해가 갔는데 바이낸스나 폴로니엑스 같은 사이트에서는 비트코인으로만 사고 파니 가치를 판단하기 영 어려웠거든요. 그런데 USDT라는게 있습니다. 일명 USD테더.. 소위 테더 하나당 1달러의 값어치를 유지한다고 천명하고 있습니다. 크립토피아 거래소에는 뉴질랜드 달러와 맞먹는 NZDT라는게 있고 중국 위안화에 맞게 BITCNY라는것도 있습니다. 제딴엔 비트코인 시장이 떨어지거나 할때는 테더를 사놨다가 다시 투자하면 되겠다 싶었거든요. 그렇지만 정말 테더가 1달러의 값어치를 유지하는지 잘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찾아보니 거의 1달러에 근접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모습을 볼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Kraken의 USDT가격 차트입니다(Kraken이 대형 미국거래 사이트이고 달러로 USDT를 살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니 믿을 만한 지표이지 싶습니다) 보시다시피 1불 근처로 가격이 유지되기는 하지만 시장상황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것이 보입니다. 테더가 90센트까지 떨어진적도 있네요. 그럼 비트코인 차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이 강세일때는 테더값도 높게 비트코인이 약세일때는 테더 값이 낮게 거래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정말 아쉬운 일이죠. 비트코인이 강세일때 약세여야 할땐데 말입니다. 결국 하나의 가상화폐일뿐인것이지요.. 만약 여기서 비트코인이 더 폭락한다면 테더값은 어떻게 될까요? 얼마전 비트컨넥트의 거래중단으로 비트컨넥트 코인값이 대폭락한적이 있습니다. 그당시 비트컨넥트 시장의 테더값은 어땠을까요? CoinMarketcap에서 발췌한겁니다(2018/2/3). HitBTC거래소에서 마지막으로 54센트 가치를 가졌네요...ㅜㅜ 역시나 가치폭락에 따라 테더값도 유지하지 못한것을 볼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시장이 좀더 정교해졌음 하네요. 막연하게 1달러를 유지할것이다는거 말고요. 선물 시장이 생기고 옵션시장이 ...

[IT/블록체인/가상화폐] 덴트(DENT)에 대해서...(블록체인 엿보기)

이미지
비트코인 시장이 고점에서 40-50퍼센트정도 빠졌습니다. 뭐 워낙에 시장이 과열이 됐으니 놀라운 일도 아닙니다. 저도 블록체인/가상화폐를 공부해보고자 이것저것 뒤지고 있는데 오늘은 DENT라는 가상화폐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더리움(ETH) 기반의 모바일 데이터 오픈 마켓을 위한 가상화폐입니다. 최근에 아이폰 앱까지 출시하면서 주목을 받았었죠.. 컨셉은 각국의 모바일 데이터를 사고 파는 오픈 마켓을 마련하는겁니다. AT&T, Verizon등이 참여했고요. 다음은 각국의 통신사의 참여 현황입니다. 덴트라는 가상통화로 본인 또는 친구, 가족에게 데이터를 살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번에 iOS앱이 출시되면서 덴트 앱을 테스트한 영상입니다. 여기서 보면 데이터를 다른 사람에게 보낼수 있는데 본인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본인에게도 데이터를 더할수가 있습니다. 데이터 추가와 함께 덴트로 지불하는것이지요. 앱을 써보니 전화번호로 통신사를 판별하고 가능한 오퍼를 보여줍니다. 아직은 데이터를 파는 기능은 없고요..(아 참고로 앱을 깔고 레지스터하면 30DENT를 그냥 줍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있으면 참 편하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특히 해외에 있을때 불필요한 카드 수수료등을 절약할수 있을듯 싶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저가 통신사들이 데이터 사고파는데 문호를 열게되면 대형 통신사들도 따라가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각종 모바일 기기중 가장 적당한 딜을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다음은 DENT에 대한 기본정보입니다. 현재 마켓 거래 가격은 0.053불입니다. 60원쯤 되나요.. 여기서 참조하실거는 발행가능 개수가 100조개라는 겁니다. 첨은 DENT가 상장될때 사십만(400,000) DENT가치가 1이더리움 가치와 같았었습니다. 현재 이더리움 시세가 1069.98불이니 대략 기초 가치는 0.00267불입니다. 실제로 대략 20배정도 값어치가 오른셈입니다(지금같은 하락장에서요.. 이더리움이 최고점(1400...

[투자/가상화폐] 가상화폐 시장 '김치프리미엄' 현황 (한국 현지 시각 14:35 2018-1-13)

이미지
가상화폐 시장이 요즘 워낙 핫하죠? 정부의 제제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투자들하고 계시는거 같아요. 요 며칠 정부의 제제 사인으로 소위 '김치프리미엄'(외국 가상화폐 시장과 한국 사상화폐시장의 가격차이)이 줄어드는가 싶더니 다시 확대되는 모양새네요.. 한국 거래서 '빗썸'의 한국 현지시각 2018년 1월 13일 14:35의 시세표이구요.. 다음은 홍콩에 있는 Bitfinex의 같은 시각 시세입니다. 잘 보이시나요? 대충 비트코인 14180, 이더리움 1291.8, 대쉬 1074.9, 라이트코인 239, 이더리움 클래식 35.707, 리플 2.04, 비트코인 캐쉬 2584, 모네로 405.32, Z캐쉬 696.05, Qtum 50.76, 비트코인 골드 227.6, EOS 17.9입니다. 대충 김치 프리미엄을 계산해보니 비트코인  38프로 이더리움 37프로 대쉬 37.7프로 라이트코인 37.9프로 이더리움 클래식 39프로 리플 40.1프로 비트코인캐쉬 39.1프로 모네로 38.1프로 Z캐쉬 37프로 Qtum 39.3프로 비트코인 골드 33.3프로 EOS 42.9프로... 며칠전 언론에서 떠들때는 53-4프로 정도 육박했었는데 비교적 조정됐네요. 요즘 비교적 핫한 EOS,리플이 프리미엄이 높은것을 볼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해봤을때 이 김치프리미엄이 주는 악영향은 외환시장의 혼돈이라고 봅니다. 환율이 1065원으로 책정됐음에도 실제로는 1469원의 원달러 환율이 유지되는 셈이지요(김치 프리미엄이 38프로 대라고 봤을때요..) 외국에서 이것저것 수수료 때고 송금하고 해도 25프로 이상의 이득이 있네요. 한국과 미국의 계좌간의 거래가 이런식으로 가능하면 미국서 한국으로의 송금을 굳이 외환시장을 거치진 않을듯해요. 아무래도 당국에서는 김치 프리미엄의 해소전까지 지속적으로 제제 사인을 내놓을거 같고요.. 아무래로 합리적인 거래소 양성화 방안을 마련했으면 합니다. 거래세, 양도세 논란이 있던데......